-
14. 내용분석(Content Analysis)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20. 2. 24. 10:51반응형
prologue. 시험단골문제인 너란 녀석
사회복지조사론이나 사회조사분석사 시험을 보면 거의 빠짐없이 개근상 수상자처럼 나오는 녀석. 하지만 이처럼 중요하게 다루어지기 무색하게, 정작 내용분석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내용분석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뤄보고자 한다.
page 1. 내용분석은?
[내용분석] page 1-1. 내용분석의 특징과 장단점
1. 내용분석의 특징
내용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법의 특징] 2. 내용분석의 장점과 단점
내용분석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의 장점과 단점] page 2. 내용분석의 단위
page 3. 내용분석의 절차
내용분석의 진행절차는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의 절차] 1. 연구주제의 선정 : 내용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주제가 도출되는 경우,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연구주제를 선정한다
2. 조사대상의 모집단 선정 : 내용분석에서의 모집단은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든 의사소통 기록물(신문, 문헌, 음악, 작품 등)을 말한다
3. 조사대상의 표본추출 : 조사대상으로 활용되는 문헌자료의 표본추출은 보통 3단계의 추출과정을 활용한다.
1) 주제(타이틀)의 선정(어떤 신문, 학술지, 방송을 선정할 것인가)
↓
2) 날짜와 발간물의 내용 선정
↓
3) 선정 발간물에서의 내용선정
4. 분석단위 규정 : 내용범주 내에서 실제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단위를 규정한다. 분석단위는 단어, 주제, 인물, 문단, 공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5. 분석 카테고리 설정 : 어떠한 사항을 분석 카테고리로 활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6. 수량화의 체계규정 : 분석단위와 카테고리를 정한 후 이를 수량적으로 분석하는 단계로, 질적인 자료를 양적으로 계량화(수량화)하여 분석하는 단계이다.
7. 결론도출 : 계량화된 자료를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단계이다
반응형'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 > 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개념"에 대해서! (0) 2020.04.01 15. 가설(Hypothesis) (0) 2020.03.29 13. 자료수집 방법 (02. 면접조사) (1) 2020.02.11 13. 자료수집 방법 (01. 질문지 조사) (0) 2020.02.10 12. 질적연구 (02. 질적연구의 설계 단계) (0) 2020.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