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
Chapter 3. 장애 관련 이론적 접근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6. 9. 12:57
탈의료화 1970년대 이전까지 장애인을 이해하는 기본적 패러다임은 의료적 모델이었다. 1970년대 이후 의료적 모델에 대한 반론이 제기되면서 장애인의 탈의료화(demedicalization)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었다. 탈의료화는 시설이용 중심 장애인의 치료 및 보호의 개념으로, 장애인 개개인이 자신의 건강과 의료적 보호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질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즉 탈의료화는 장애인을 병자(sick role)로 보는 기존 의료적 모델을 비판함과 동시에, 장애인이 가족, 시민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박탈당하지 않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탈시설화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 시설을 벗어나 재활과 사회복귀, 그리고 자립할 수 있는..
-
Chapter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5. 3. 13:13
1. 근대 이전(삼국시대 / 고려시대 / 조선시대) 우리나라는 장애인을 몹쓸 병에 걸려 몸이 쇠약해진 사람. 즉 폐질자(廢疾者), 잔질자(殘疾者), 독질자(篤疾者)로 보았다. 장애인은 가족이 책임지도록 하였으며, 기근·전염병·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가족이 장애인을 부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때는, 마을 공동체에서 지원하도록 하였다. 1) 삼국시대 사궁구휼(四宮救恤)-(홀아버지/홀어머니/고아/아들없는 부모)로 장애인을 일반 구제대상에 포함하여 의류나 곡물, 관제 등을 지급하였다. *고구려 : 진대법(고국천왕 16년)을 제정하여 질병 또는 노동능력이 결핍된 자들을 구휼함 *신라 : 노인이나 병자에 대한 구제를 실시함(유리왕 5년) *백제 : 백성의 환고를 조사하여 병자와 노인, 장애인에게 곡식을..
-
Chapter 1. 장애에 대한 이해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4. 21. 13:54
page 1. 장애 관련 현황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5년마다 전국적으로 장애인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07년 [장애인복지법]의 개정으로 조사주기를 3년으로 단축하여 장애인의 실태조사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고 있다.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출처-보건복지부)* 1) 장애인구 구분 2008년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장애인 추정 - 2,683,477 2,726,910 2,668,411 - 등록장애인 2,137,226 2,611,126 2,646,064 2,580,340 2,622,950 ∙65세 이상 장애인구 36.1% 38.8% 43.3% 46.6% 49.9% ∙장애인가구 중 1인 가구 14.8% 17.4% 24.3% 26.4..
-
Chapter 0. 장애의 개념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4. 11. 11:45
page 0. 시작하기에 앞서 육아휴직 3개월. 3개월 동안 말도 못하고 나만 바라보는 아들놈에 매달려 살다보니 몸도 마음도 피폐해졌다. 그리고 어린이집 종일반 전환에 따라 생긴 자유. 그냥 누워서 시간을 보내볼까 하다가, 개념 공부를 다시 할 겸, 책을 펼쳤다. (내가 미쳤지;;;) 장애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하나 둘 정리하며, 육아휴직 후 현장에 복귀할 때를 대비한 레벨업을 목표로 달려보고자 한다. 그럼 시작해볼까? (제발 끝까지 이어가기를;;) page 1. 장애의 개념? 장애라는 용어를 한마디로 정리하기란 쉽지 않다. 굳이 개념적 정의를 찾아보자면,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히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또는 그런 일 -표준국어대사전- 신체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