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
-
07. 2015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19. 11. 4. 21:28
[풀어보세요] 6. 사회조사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횡단연구는 탐색, 기술, 설명의 목적을 갖는다 ② 동년배(cohort)조사는 특정 하위모집단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번 동일대상을 선정한다 ③ 종단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조사하는 연구로 질적연구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④ 패널(panel)연구는 새로운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해마다 다른 표본을 선정한다 ⑤ 추이(trend)조사는 패널연구보다 개인의 변화에 대해 더 명확한 자료를 제공한다 7.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실제 자료의 통계분석에서 사용하는 변수를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조절(moderating)변수 ㄴ. 통제(control)변수 ㄷ. 매개(mediating)변수 ㄹ. 외생(extraneous)변수 ..
-
06. 2015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번~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19. 10. 31. 13:52
[풀어보세요] 1. 양적연구의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변수 간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한 문장이다 ② 가설은 연구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③ 영(null)가설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④ 하나의 가설에 변수가 많을수록 가설검증에 유리하다 ⑤ 탐색적 조사는 가설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2. 조사연구과정의 일부이다. 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보기] ㄱ. '아동학대는 청소년비행을 유발할 것이다'라는 가설 설정 ㄴ. 할당표집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여 자료수집 ㄷ. 아동학대로 관심주제 선정 ㄹ. 구조화된 설문지 작성 ① ㄱ-ㄴ-ㄷ-ㄹ ② ㄱ-ㄷ-ㄴ-ㄹ ③ ㄱ-ㄷ-ㄹ-ㄴ ④ ㄷ-ㄱ-ㄹ-ㄴ ⑤ ㄷ-ㄹ-ㄱ-ㄴ 3. 서베이에서 우편설문법과 비교한 대인면접법..
-
08. 설문지 작성의 중요성과 절차, 작성 시 유의사항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0. 28. 21:57
page 1. 설문지 작성의 중요성 설문지 작성과 활용은 조사연구의 6단계인 [연구주제(문제) 설정] → [가설설정] → [조사설계] → [자료수집] → [자료분석] → [보고서 작성] 중 4번째 단계인 [자료수집]에 해당하는 항목이다. *하지만 4단계에 해당한다는 건 어디까지나 자료수집 단계에서 설문지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설문지 작성은 모든 단계에 영향을 받고 영향을 미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여기에서 설문지(질문지)는 연구자가 자신의 연구목적에 맞게 어떠한 문제와 사물의 속성을 측정하고자 문항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작성한 조사도구이다. 즉, 설문지가 얼마나 잘 만들어졌느냐가, 조사목적에 맞게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느냐에 연관된다고 생각한다. 따라..
-
07. 조사연구방법의 유형 [part 3.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설명적 조사)]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0. 21. 20:44
prologue.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엔 제법 중요한 녀석 드디어 마지막이다. 조사연구방법의 유형. 앞의 포스팅에서 확인했던 자료수집(연구방법)에 대한 분류 [양적조사, 질적조사] 시간적 차원에 대한 분류 [횡단조사, 종단조사] 그리고 마지막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탐색적 조사, 기술적 조사, 설명적 조사)'를 포스팅하고자 한다. 앞선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횡단조사와 종단조사보다는 다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큰 오산이다. 오늘은 이 중요하지 않은 듯 중요한 녀석,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고자 한다. page 1. 탐색적 조사(=예비조사) 탐색적 조사는 조사설계를 확정하기 전, 또는 연구문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할 경우에 예비적으로 실시하는 조사이다. 탐색적 조사는 ..
-
05. 2014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19. 10. 19. 14:25
[풀어보세요] 21. 노인의 우울에 관하여 연구할 때 조작적 정의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① 사전(dictionary)을 참고하여 우울을 명확히 정의한다 ② 노인의 우울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정리한다 ③ 우울관련 척도를 탐색 후 선정한다 ④ 우울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차이에 대해 조사한다 ⑤ 우울한 노인의 현황을 파악한다 22.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보가더스의 사회적 거리척도는 누적척도의 한 종류이다 ② 의미분화척도는 한 쌍의 반대가 되는 형용사를 사용한다 ③ 리커트척도의 각 문항은 등간척도이다 ④ 거트만척도는 각 문항을 서열적으로 구성한다 ⑤ 서스톤척도를 개발하는 과정은 리커트척도와 비교하여 많은 시간, 노력이 요구된다 23. 비확률 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
07. 조사연구방법의 유형 [part 2. 시간적 차원에 의한 분류(횡단연구, 종단연구)]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0. 18. 21:10
prologue. '횡'과 '종'의 구분 '4열 종대 헤쳐 모여!!' '1열 횡대로 서!!' 어릴 적 학교를 다닐 때, 혹은 군대에서 한 번씩은 다들 들어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횡단연구와 종단연구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횡'과 '종'의 차이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위의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횡은 가로로 늘어선 줄을 종은 세로로 늘어선 줄을 의미한다 이제 단상 위에 서 있는 사람의 관점으로 시선으로 옮겨보자. 횡대의 경우, 한 눈에 쉽게 서있는 사람의 특성과 키, 외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종대의 경우, 각각의 특성에 맞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은 걸릴 수 밖에 없다. page 1. 횡단연구 횡단연구는 일정 시점에서 특정 표본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거나, 자..
-
04. 2014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19. 10. 16. 17:07
[풀어보세요] 16. 우편조사, 전화조사, 대면면접조사에 관한 비교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적으로 우편조사의 응답률이 가장 높다 ② 우편조사와 전화조사는 자기기입식 자료수집 방법이다 ③ 대면면접조사는 추가질문하기가 가장 어렵다 ④ 원거리 응답자에게는 우편조사보다 대면면접조사가 더 적절하다 ⑤ 어린이나 노인에게는 대면면접조사가 가장 적절하다 17. 과학적 조사가 필요한 사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갈등을 해소할 필요가 있을 때 ② 결혼이주민 조사 시 연구자의 문화적 편견을 검토하고 싶을 때 ③ 주민대표자의 응답이 전체 주민의 의견을 대표하는지 알고 싶을 때 ④ 정량평가 외에 정성평가를 체계화하고 싶을 때 ⑤ 선임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지식이 타당한지 알고 싶을 때 18. 설문지 작성..
-
07. 조사연구방법의 유형 [part 1. 개괄적 설명 &자료수집에 의한 분류(질적연구, 양적연구)]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0. 15. 20:15
prologue. 조사연구방법의 유형 조사연구방법, 사회조사방법에는 그 유형에 따라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6가지는 자료수집에 의한 분류 연구목적에 따른 분류 시간적 관점에 따른 분류 용도에 따른 분류 조사대상에 의한 분류 기타 분류 로 구분된다. 오늘은 이 중 자료수집에 의한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하루만에 다 올릴 마음의 준비가 안 되어있음) page 1. 자료수집에 의한 분류 [질적연구] 질적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인, 상호주관적/상징적/사회적 행위의 환경적 요인들을 조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즉 질적연구는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몸짓, 언어, 행동, 글, 관찰할 수 있는 행동, 사회적 행동과 같은 (수치로 바로 계량화하기 어렵거나 할 수 없는) 것들을 자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