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사례관리 공부] 04-1. 사례관리의 기초와 이해page 03. 사례관리/chapter 01. 사례관리 공부 2021. 1. 31. 21:08
prologue. 배워서 써먹자!!! 사례관리 담당부서로 배정받은지도 어느새 5개월이 지났다. 코로나19 상황에 해본 적 없는 사례관리 업무에, 부딪히고 깨져가며 현장에서 배우다 보니 여느 때보다도 빨리 배울 수 있었지만, '제대로 공부해 보고 싶다'라는 마음이 꿈틀꿈틀 올라왔다. 통계공부야 워낙에 좋아하니 찾아서 하는 편이지만, 사례관리를 공부하려고 책을 펴면 '공부만 빼고 세상 모든 일이 다 재미있어 보이는' 환각에 빠지는 듯하여, 차일피일 미룬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정말 독하게 마음먹고 사례관리를 공부해보고자 한다. 책은 한국사례관리학회의 '사례관리 전문가교육-실무자 기초과정'을 구입하여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나 끝까지 잘 공부할 수 있겠지? page 1.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책은 사..
-
35. 2020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21번~25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1. 1. 28. 21:00
[풀어보세요] 21. 아동기(7~12세)의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위기 중 솔선성 대 죄의식(initiative vs guilt)이 해당된다 ㄴ. 조합기술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가역성, 보상성, 동일성의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ㄷ. 단체놀이를 통해 개인의 목표가 단체의 목표에 속함을 인식하고 노동배분(역할분담)의 개념을 학습한다 ㄹ. 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져서 미래의 사건을 예측할 수 있는 가설적, 연역적 사고가 발달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ㄴ, ㄹ 22. 청소년기(13~1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신체적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2의 성장급등기라고 한다 ② 어린이도 성인도 아니..
-
34. 2020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6번~20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1. 1. 23. 18:32
[풀어보세요] 16. 생태학적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을 환경과 상황 속에서 이해한다 ② 성격은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③ 적합성은 인간의 욕구와 환경자원이 부합되는 정도를 말한다 ④ 생활상의 문제는 전체적 생활공간 내에서 이해한다 ⑤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본다 17. 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차집단(primary group)은 목적 달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집단이다 ② 이차집단(secondary group)은 혈연이나 지연을 바탕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이루어진 집단이다 ③ 자연집단(natural group)은 특정위원회나 팀처럼 일정한 목적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④ 자조집단(self-help group)은 유사한 어려움과 ..
-
33. 2020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1번~15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1. 1. 18. 21:55
[풀어보세요] 11.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강화란 자기 스스로 목표한 일을 달성하고 자신에게 강화물을 주어서 행동을 유지하고 변화해 나가는 과정이다 ② 자기효능감은 자신이 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다 ③ 관찰학습은 단순한 환경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통하여 행동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을 습득하는 것이다 ④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운동재생단계이다 ⑤ 인간의 성격은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요소들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달한다 12. 받아들일 수 없는 자신의 욕망이나 충동을 타인에게 돌리는 방어기제는? ① 전치(displacement) ② 억압(repression) ③..
-
32. 2020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6번~10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1. 1. 7. 16:37
[풀어보세요] 6. 융(C. Jung)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남성의 여성적인 면은 아니무스(animus), 여성의 남성적인 면은 아니마(anima)이다 ②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음영(shadow)은 자기나 자아상과 같은 개념으로 인간의 어둡고 동물적인 측면이다 ④ 페르소나(persona)는 개인이 외부 세계에 보여주는 이미지이며,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반응이다 ⑤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은 다양한 콤플렉스에 기초한다 7. 매슬로우(A. Maslow)의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의 창조성은 잠재적 본성이다 ② 각 개인은 통합된 전체로 간주된다 ③ 안전의 욕구는 소속과 사랑의 욕구보..
-
31. 2020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번~5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1. 1. 3. 20:56
[풀어보세요] 1. 인간발달의 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 요인을 중요시 한다 ② 결정적 시기가 있다 ③ 일정한 순서가 있다 ④ 개인차이가 존재한다 ⑤ 특정단계의 발달은 이전의 발달과업 성취에 기초한다 2. 로저스(C. Rogers)의 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비지시적인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② 공감적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③ 비심판적 태도는 원조관계에 유용하다 ④ 클라이언트 자기결정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⑤ 클라이언트의 과거 정신적 외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다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성장은 키가 커지거나 몸무게가 늘어나는 등의 양적변화를 의미한다 ㄴ. 성숙은 유전인자에 의해 발달과정이 방향 지어지는..
-
30. 2019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21번~25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0. 12. 31. 14:18
[풀어보세요] 21. 청소년기(13~19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한다 ② 부모의 권위에 도전하며 잦은 갈등을 겪는 시기이다 ③ 동년배 집단에 참여하여 다양한 경험을 한다 ④ 심리적 이유기라고도 한다 ⑤ 애착대상이 부모에서 친구로 이동한다 22. 청년기(20~35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부모로부터의 독립에 대한 양가감정에서 해방된다 ② 직업의 준비와 선택은 주요한 발달과업이다 ③ 사랑하고 보살피는 능력이 심화되는 시기이다 ④ 사회적 성역할 정체감이 확립되는 시기이다 ⑤ 친밀감 형성과 성숙한 사회관계 성취가 중요하다 23. 중장년기(36~64세)의 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생산성 대 침체성 ㄴ. 전인습적 도덕기 ㄷ. 빈둥지 증후군 ㄹ...
-
29. 2019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6번~20번)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020. 12. 30. 20:33
[풀어보세요] 16. 사회체계로서 문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미시체계에 해당된다 ② 후천적으로 습득되기보다는 타고 나는 것이다 ③ 구성원 간 공유되는 생활양식으로 다른 사회 구성원과 구별된다 ④ 규범적 문화는 종교적 신념, 신화, 사상 등으로 구성된다 ⑤ 문화는 외부의 요구와 무관하게 고정되어 있다 17. 태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정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출생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② 태내발달은 어머니의 영양상태, 학력, 질병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다 ③ 임신부 연령은 임신부와 태아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④ 태아는 임신부의 정서 상태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⑤ 약물은 태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8. 영아기(0-2세)의 발달특성으로 옳은 것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