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2. 25. 16:57반응형
[풀어보세요]
6. 사회복지 조사의 연구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구문제는 연구자의 관심이나 의문의 대상을 포함한다
ㄴ. 잠정적 결과를 예측하는 연구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
ㄷ. 모든 사회복지 조사는 연구문제가 있다
ㄹ. 문제형성 과정에 다른 연구자의 참여가 가능하다
ㅁ. 연구문제가 변수 간의 관계를 예측할 필요는 없다
① ㄱ, ㅁ
② ㄴ, ㄹ
③ ㄱ, ㄹ, ㅁ
④ ㄱ, ㄴ, ㄷ, ㅁ
⑤ ㄱ, ㄴ, ㄷ, ㄹ, ㅁ
7. 사회과학의 연구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업시간에 조사하는 설문지도 응답자의 동의와 자발적 참여가 필요하다
② 연구자는 연구대상자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된다
③ 응답자의 익명성과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④ 연구의 공익적 가치는 일반적으로 연구윤리보다 우선해야 한다
⑤ 타인의 연구결과를 인용 없이 사용하는 경우를 표절이라 한다
8. 척도수준(Level of Measur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령은 모든 척도 수준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② 표준화된 지능검사점수는 비율척도이다
③ 소득을 비율척도로 질문하면 다른 척도 수준으로 질문할 때보다 응답률이 높은 편이다
④ 등간척도는 절대영점이 있다
⑤ 서열척도는 비율척도로 변환이 가능하다
9. 표집오차(sampling error)와 표준오차(standard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집오차는 모집단의 모수와 표본의 통계치 간의 차이이다
② 표집오차는 무수히 많은 표본평균의 통계치가 모집단의 모수로부터 평균적으로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③ 동일한 조건이라면 이질적 집단보다 동질적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표집오차가 작다
④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준오차가 클수록 검정통계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⑤ 동일한 조건이라면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집오차가 감소한다
10.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념의 구체화 과정에서 포괄성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② 개념의 경험화 과정에서 변수를 구성하는 속성들 간의 구분이 분명해야 한다
③ 신뢰도가 높은 측정을 위해서는 문항 간 내적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④ 측정은 개념의 현상적 구조와 경험적 측정값들이 일치될수록 정확해진다
⑤ 개념화가 조작화에 비해 경험적 차원에서의 구체화 정도가 높다
[문제풀이]
모두 열공하세요~:)
반응형'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 > 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 (0) 2020.02.28 23.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 (0) 2020.02.26 21.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번~5번) (0) 2020.02.25 20.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 (0) 2020.01.28 19.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 (0) 2020.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