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1. 28. 21:07반응형
[풀어보세요]
21. 2차 자료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비관여적 방법이다
ㄴ. 관찰대상에 대한 연구자의 영향이 크다
ㄷ. 통계적 기법으로 자료의 결측값을 대체할 수 없다
ㄹ.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① ㄱ
② ㄱ, ㄷ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22. 과학적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잠정적이지 않은 지식을 추구한다
② 철학이나 신념보다는 이론에 기반한다
③ 경험적인 증거에 기반하여 지식을 탐구한다
④ 현상의 규칙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
⑤ 허위화(falsification)의 가능성에 대해 개방적이어야 한다
23. 변수의 측정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성별은 이산적 특성을 가진 서열척도이다
② 인종과 종교는 등간척도이다
③ 석차로 평가된 성적은 등간척도이다
④ 5점 척도로 측정된 서비스만족도는 비율척도이다
⑤ IQ와 온도는 등간척도이다
24. 사회복지조사의 연구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연구대상을 관찰하기에 앞서 그들의 동의를 구해야 한다
ㄴ. 연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이익이 비용을 초과해야만 한다
ㄷ. 조사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과 실패도 모두 보고해야 한다
ㄹ. 비밀성이 보장되면 익명성도 보장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ㄷ, ㄹ
⑤ ㄱ, ㄴ, ㄷ, ㄹ
25.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부정확한 관찰은 규칙성을 전제로 이와 부합되는 특수한 사례만을 관찰하는 것이다
② 과도한 일반화는 관찰된 소수의 사건이나 경험을 근거로 현상의 규칙성을 일반화시키는 것이다
③ 선별적 관찰은 관찰자의 자아특성이 현상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④ 꾸며진 지식은 의식적 활동의 부재로 현상에 대한 정확한 관찰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⑤ 자아개입은 일반화된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사실이 아닌 정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문제풀이]
모두 열공하세요~:)
반응형'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 > 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 (0) 2020.02.25 21.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번~5번) (0) 2020.02.25 19.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 (0) 2020.01.26 18.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 (0) 2020.01.19 17.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 (1) 2020.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