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
06. 신뢰도와 타당도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0. 12. 12:31
prologue. 신뢰도와 타당도 사회복지조사론을 공부하다 보면 피하려 해도 피할 수 없는 녀석이 이 두 녀석이 아닐까 싶다. 겨우 중간고사나 기말고사를 겪고 잊을 때 쯤이면,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개념이기도 하고, 겨우 1급 시험을 끝내고 사회복지 현장에서 조사연구사업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하려고 하면 또 다시 스멀스멀 나타나는 이 두 녀석.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복지조사에서 외면하려 해도 외면할 수 없는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age 1. 신뢰도(Reliability) 신뢰도는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현상을 일관성 있게 측정하는 정도를 말한다. 한 가지 측정도구를 동일한 응답자들에게 반복해서 적용했을 때, 그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정도를 ..
-
05. 변수에 대해서 2 (변수 간 기능적 관계-독립/종속/통제/외생/매개/조절 등)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9. 30. 21:08
page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조사론을 대충이라도 공부했다면 모를래야 모를 수가 없는 아이들이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친구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예를 복지관 이용인 욕구조사 및 만족도 조사의 가설을 통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정서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노년기 장애인의 우울감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낮게 나타날 것이다 장애가족 심리지원 프로그램은 장애인 가족의 정서지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첫 번째 가설의 독립변수는 정서지원 프로그램은 종속변수는 노년기 장애인의 우울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 가설의 독립변수는 장애가족 심리지원 프로그램은 종속변수는 장애..
-
04. 사회복지기관에서 조사연구사업이 필요한 이유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9. 22. 21:10
prologue. 조사연구?? 왜 하는거지? 가장 골치 아픈 말이다.. 조사연구.. 왜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조사연구사업을 진행해야만 할까? 내 업무 처리하기에도 바빠 죽겠는데~~ (사실 나도 복지관에서 홍보사업, 온라인모금, 조사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특히 연말에 만족도 조사에 행사까지 같이 하려면 정신이 없음 ㅠ) 전직원이 동원되어 수행해야 하는 설문지 문답과 수거, 그리고 그걸 코딩하고 분석한 후 보고서까지 만들어야 하는 나!! ㅠ 하지만 조사연구사업은 사회복지기관에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그럼 이 사업이 왜 필요하고 중요할까? 내가 일하는 사회복지기관 뿐만 아니라 모든 기관 및 단체, 기업은 고객의 욕구(needs)를 파악하고 그 니즈에 맞는 사업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 ..
-
03. 사회조사연구 과정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9. 15. 15:29
prologue.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듯이!! 모든 일을 할 때는 효과적, 효율적으로 그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절차가 있다. 사회조사(사회복지조사) 역시 마찬가지로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절차와 과정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조사의 조사연구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age 1. 조사연구과정 (개략적으로 살펴보기) 사회조사연구의 과정은 보통 6~8단계 정도로 나누는 듯 하다 (무슨 책을 볼 때마다 다 달라 ㅡ.ㅡ;;)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냥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조사연구과정의 6단계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기재하고자 한다. 위와 같이 조사연구의 과정은 크게 연구주제 설정과 가설설정, 조사설계와 자료수집, 자료분석과 조사보고서 작성의 단계로 구성된다. page 2. 조사연..
-
02. 변수와 척도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9. 8. 15:38
오랜만에 다시 적어본다(그 동안 너무 바빴어) 다시 집중해서 start!! Prologue. 척도의 구성요건 척도(Scale)는 어떠한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일련의 도구를 의미한다. 척도구성은 위에서 언급한 척도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사회라는 테두리 안에서 살아갈 때 보이지 않는 규칙을 지키며 살아가는 것처럼, 척도를 구성할 때 역시 척도의 구성요건을 고려해서 척도를 만들어야 한다. [척도의 구성요건] 1. 상호배타성 : 각각의 응답범주는 독립적이어야 하며 고유하고 명확한 하나의 속성만 가지고 있어야 한다 (cf>한 문항 안에 세 개의 응답범주가 있다면, 그 세 개의 응답범주는 중복되는 것이 없이 서로 독립적이어야 한다) [cf2> 귀하의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 10대, 20대, 3..
-
01. 변수에 대해서(명목변수, 서열변수, 등간변수, 비율변수)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8. 6. 08:12
prologue(프롤로그) 갑자기 변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조금은 당황스러울 수도 있다. 조사론에 대한 끄적거림에 갑자기 왠 변수들 이야기인지.. 하지만, 설문지를 만들고 분석을 하는 데 있어 변수에 대한 이해는 굉장히 중요하다. 예를 들자면, 사람 역시 그 사람의 성격이나 성향, 사회적 지위 등에 따라, 우리가 그 사람을 만날 때 행동 또한 달라지는 것처럼, 변수 역시 변수의 종류에 따라 성격이나 성향,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이 다르다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다.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Made In China 보다는 Made In Korea를 더 좋은 브랜드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page 1. 명목변수(Norminal Variable) 명목변수는 측정대상의 특성을 분류(구분)하기 위한 변수이..
-
사회복지 조사에 대한 글을 쓰기 전에..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7. 28. 11:42
page 1. 나는 통계를 참 좋아한다. 나는 사회복지 통계를 참 좋아한다. 대학교 3학년 때, 나름 장학생으로 좋은 학점만 받던 나에게 다가온 사회복지조사론에서의 C학점. 참 열심히 공부했는데. 화가나고 욱하는 마음에 '두고보자!!! 내가 성적 이의제기 하고 보란듯이 잘하는 모습 보여줘야지' 라고 다짐했는데, 세상에. 공부를 하다보니 너무 재미있는거지. 그렇게 통계공부를 시작했다. 그러면서 통계공부가 하고 싶어 통계학과가 있는 옆학교에서 몰래 수업을 도강하고 공부도 하며 그렇게 시간을 보냈다. page 2. 사회복지조사는 왜 1급 시험의 필수과목일까? 그렇게 통계를 공부하고 나름 연구활동도 같이 하고, 많은 후배들에게 사회복지조사론과 욕구조사 및 만족도조사에 필요한 통계를 가르쳐주는 요즘. 많은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