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9. 연역법과 귀납법 (과학적 방법의 논리체계)
    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2. 사회복지 조사 2019. 11. 13. 21:47
    반응형

    prologue. 과학적 방법의 논리체계

     

    사회과학은 수많은 현상을 관찰하여 이론을 형성하거나, 기존의 이론을 통해 형성한 가설을 경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발전해간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과학의 논리적 연구방법인 연역법과 귀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page 1. 연역법

     

    연역법은 전통적인 조사방법으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원리로부터 특수한 것을 추론해내는 조사연구 방법이다. 즉, 이미 참으로 인정된 법칙과 이론을 근거어떠한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도출해내는 연구방법을 연역법이라 한다. 연역법은 다음과 같은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

     

    [연역법의 검증과정]

    연역법은 가설 → 조작화 → 관찰, 경험 →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 즉, 연역법은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삼단논법의 형태로 자신의 연구주제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page 2. 귀납법

     

    귀납법관찰을 통해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으로 전개해가는 조사연구방법이다. 즉, 귀납법은 관찰과 경험, 자료 수집의 반복을 통해 보편성과 일반성을 가지는 하나의 이론을 증명하는 연구방법이다. 귀납법은 다음과 같은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

     

    [귀납법의 검증과정]

     

    귀납법주제선정 → 관찰 → 유형발견 → 임시결론의 과정을 거친다. 즉, 귀납법은 가설을 가정하지 않고 연구자가 자신의 관심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기록함을 반복함으로써 유형을 발견하고 임시적인 이론(결론)을 검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page 3. 연역법과 귀납법의 관계

     

    연역법과 귀납법은 서로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연역법은 검증된 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원리와 법칙을 발견하기에, 경제적/효율적인 반면 새로운 원리와 법칙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단점

     

    귀납법 이론적 배경 없이 새로운 원리와 법칙을 반복되는 관찰을 통해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가능하고 의미있는 변수를 선택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연역법과 귀납법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는,

    연역법구체적인 대상과 현상에 대한 관찰의 일정한 지침을 제공한다는 특성

    귀납법경험적 관찰을 통한 기존 이론의 수정과 보충이 가능하다는 특성

     

    각 조사방법의 단점을 커버해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기인한다.

     

     

     

    epilogue. 포스팅을 마치며!!

     

    연역법과 귀납법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현장에서 10년 동안 일을 하면서, 내가 가진 성향이 다른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상황을, 또한 나의 부족한 점을 다른 실무자의 장점을 통해 채워나가는 일을 많이 경험할 수 있었다. 즉, 내가 무조건 옳고 맞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타인의 도움과 장점을 인정할 때, 서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있었던 기억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 떠올릴 수 있었다.

     

    나의 주장과 고집을 잠시 내려놓고 다른 동료와 함께 서로를 믿으며 나아갈 때,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믿고 지지해주며 나의 강점을 덧대어 줄 때,

     

    서로 함께 성장할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많은 분들이 자신의 강점과 단점을 확인, 인정함으로써 나의 주변사람들과 함께 협력하고 동반성장하는 기회가 많아졌으면 한다.

     

    (꼰대 사회복지사의 주절거림 끝!!!)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