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tudy 2. [의무교육] 홍보성과 분석 교육 (2020. 7. 3.)
    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5. 사회복지교육 2020. 7. 4. 16:25
    반응형

    prologue. 교육은 좋고 가는 길은 멀다

     

    2020년 7월 1일과 3일,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 대회의실에서 [2020년 '홍보, 기획 실무과정' 홍보성과 분석] 교육이 진행되었다. 7월 1일은 온라인, 7월 3일은 오프라인 교육으로 진행되었다. 교육은 정말 좋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동거리. 경기도 북부(파주)에서 교육장소인 남부(수원)까지 가는 길은 녹록치 않았다. 교육시간 6시간, 이동시간 6시간. 하지만 그럼에도 너무 좋았던 이번 교육. 이번 포스팅은 이번 홍보성과 분석 교육을 담아보고자 한다.

     

     

    page 1.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는 미션, 비전의 내재화에서부터 시작한다

     

    7월 1일, 복지관 정보화 교실에서 첫 날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교육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교육에 대한 재택근무 권고가 있었지만, 장애인복지관 평가로 집에서 교육에 참여하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게 교육 시작!!

     

     

    [교육 시작!!]

     

     

    교육은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 신철민 관장님께서 진행해주셨다. 첫 날 교육은 사회복지기관의 홍보성과, 그 중에서도 사회복지기관의 미션/비전이 홍보사업에 중요한 이유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어 주셨다.

     

     

    1. 왜(Why) 홍보사업은 기관의 미션, 비전을 근간으로 깔고 있어야 할까?

     

    사회복지기관의 미션과 비전업무와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견인하는 핵심요소이다. 즉, 미션과 비전은 기관의 정체성인 것이다. 홍보사업은 이러한 복지관의 정체성, 핵심가치를 지역에 알릴 수 있는 채널인 것이다.

     

    기관의 미션과 비전을 명확하게 알고 이를 내재화 할 때, 복지관의 사업과 프로그램에 정체성이 생긴다.

    기관의 미션과 비전을 명확하게 알고 이를 내재화 할 때, 사업의 방향성이 생기고 성과가 나타난다.

     

    사회복지기관의 모든 사업은 미션과 비전을 내재화해야 한다. 특히 홍보사업은 기관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알릴 수 있는 채널이다. 홍보사업은 지역사회에 사업과 프로그램으로 사회복지기관의 핵심가치를 보여줄 수 있다. 이것이 홍보사업이 기관의 미션과 비전을 내재화해야 하는 이유이다.

     

     

    교육강사인 신철민 관장은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공유하였다.

     

     

    -미션 : 장애당사자의 보편적 삶을 위해 지역사회 변화를 만들어가는 복지관

    -비전

     1) 사람중심지원을 기반으로 생활인권 확대하기

     2) 장애당사자의 보편적인 삶을 위해 지역환경 조성하기

     3) 당사자와의 연대를 기반으로 지역사회 내 주체적인 삶 조력하기

    -핵심가치 : 인권 / 지역사회 / 당사자 주체

     

    교육강사는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내재화하는 작업이 훨씬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미션과 비전을 아무리 멋지게 세워놓아도 이것들이 사업에 녹아들지 않는다면, 미션과 비전은 만들어지기만 했을 뿐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때문에 교육강사는 미션과 비전의 내재화를 위한 브랜드 워크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미션, 비전의 사업 내재화 단계]

     

     

    2. 미션과 비전의 수집

     

    미션(Mission)은 조직의 존재 이유와 목적

    비전(Vision)은 조직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미래상,

    전략(Strategy)은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계획과 방법을 의미한다.

     

    강사는 "비전(Vision)은 모두가 함께 소리내어 말할 때 실천할 수 있지만, 혼자서만 간직하면 그저 상상에 그칠 뿐이다"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강사는 사이먼 사이넥의 '왜(Why)가 왜 중요한지''왜(Why)를 어떻게 발견할 것인지'에 대해 반드시 실천해 볼 것을 강조하였다.

     

    미션과 비전을 올바르게 이해할 때, 사업의 방향성을 올바르게 설정할 수 있다.

    미션과 비전을 올바르게 이해할 때, 내적일관성을 가지고 사업을 계획, 적용, 평가할 수 있다.

     

     

    사회복지기관의 브랜드 전략은 우리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홍보사업 역시 복지관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내재화하여 사업을 수행, 평가해야 한다.

    실제로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은 핵심가치인 인권, 지역사회, 당사자 주체를 모든 사업에 녹여 수행하고 있었다. 미션과 비전이라는 길이 명확하니 방향을 설정할 고민없이 일관된 사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page 2. 내적 일관성을 갖춘 사업의 구성

     

    2일차 교육은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누림에서 오프라인 교육으로 진행되었다.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오프라인 교육이 잘 진행될 수 있을까? 걱정이 앞섰지만

     

    [철저한 준비]

     

    철저하게 분리교육을 준비해주어서 큰 걱정 없이 임할 수 있었다 (강의시간 내 마스크 착용, 열체크, 책상 1개 실무자 1명 착석, 칸막이 설치 등).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면,

     

    사회복지기관의 브랜드 전략은 우리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모든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홍보사업 역시 복지관의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내재화하여 사업을 수행, 평가해야 한다.

    실제로 서부장애인종합복지관은 핵심가치인 인권, 지역사회, 당사자 주체를 모든 사업에 녹여 수행하고 있었다. 미션과 비전이라는 길이 명확하니 방향을 설정할 고민없이 일관된 사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강사는 내적일관성 있는 사업을 구성하는 방법을

    크게 마인드맵 작성One page proposal의 습관화로 보았다.

     

     

    1. 마인드맵(Mind Map) 작성

    : 생각하고 있는 것, 기억하는 내용들을 지도를 그리듯 줄거리를 이해하며 정리하는 방법이다. 주제와 관련된 핵심단어를 정리하고, 주제를 선정하기 때문에 짜임새 있는 글을 적고 사업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2. 원페이지 프로포절(One Page Proposal) 작성

    : 원페이지 프로포절은 한 장으로 기획서를 구성하여, 명확하고 간략하게 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페이지 프로포절에는

     1) 제목 (이용자, 목적, 방법이 녹아들어야 함)

     2) 필요성 (객관적 자료를 제시하여 사회문제를 분석하는 노력)

     3) 참여자 선정 ('대상자'로 표기하는 것보다 '참여자'로 표시하는 것이 좋음)

     4) 목표설정   5) 활동내용   6) 예산   7) 평가계획

     이 녹아들어야 한다.

     

     

    page 3. 성과평가의 7단계, 그리고 '왜(Why)'의 관점 변화

     

    성과평가의 7단계는

     

    1. 성과측정을 위한 준비

    2. 측정할 성과 선택

    3.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의 구체화

    4. 성과지표 측정을 위한 자료 수집 계획

    5. 성과 측정

    6. 측정결과의 분석과 보고

    7. 성과측정 결과의 이용

     

    으로 구분된다. 홍보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는 크게 5가지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게제건수, 전환, 감정분석, 백링크, 사이트 트래픽으로 나타난다.

     

    교육을 들으면서 가장 크게 다가왔던 점은,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미션과 비전, 핵심가치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왜(why)의 관점'으로 사업에 다가가야 한다는 점, 실무자의 의견을 존중하고 동반성장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사회복지사로 10년을 일하면서 나는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설명하기 보다는 설득함'에 집중했다. 이번 교육을 신청한 이유 역시, 홍보사업에 대한 성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리자를 설득하고 내 입맛에 맞는 사업을 구성하기 위한 교만이었다. 그리고 강사인 신철민 관장님께 보기 좋게 얻어맞았다. 개인적으로는 배울 것이 많은 값진 시간이었다.

     

    [교육을 마치며 누림센터 바이~~:)]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