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사회복지조사론기출문제
-
19.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1. 26. 07:57
[풀어보세요] 16.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보기] 단일사례설계에서 기초선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기초선의 변화의 폭과 기울기까지 고려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① 평균비교 ② 시각적 분석 ③ 경향선 접근 ④ 임상적 접근 ⑤ 이론적 접근 17. 가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설이란 둘 이상의 변수들 간의 관계를 예측하는 진술이다 ② 영가설은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③ 연구가설은 이론으로부터 도출된다 ④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⑤ 가설은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18. 실험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통제집단사후검사설계는 무작위할당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나누고 실험집단에만 개입을 한다 ② 정태적(static) 집단비교설계..
-
18.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1. 19. 07:12
[풀어보세요] 11. 서베이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면접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비언어적 행위의 관찰이 가능하다 ② 일반적으로 전화조사는 면접조사에 비해 면접시간이 길다 ③ 질문의 순서는 응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④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⑤ 면접조사는 전화조사에 비해 비용이 높을 수 있지만 무응답률은 낮은 편이다 12. 다음에서 사용한 타당도는? 새로 개발된 주관적인 행복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이미 검증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관적인 행복감 측정도구의 결과를 비교하여 타당도를 확인한다 ① 내용(content) 타당도 ② 동시(concurrent) 타당도 ③ 예측(predictive) 타당도 ④ 요인(factor) 타당도 ⑤ 판별(discrim..
-
17.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1. 15. 14:14
[풀어보세요] 6. 다음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17개 시, 도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실업률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① 독립변수는 청년실업률이다 ② 종속변수는 비율척도이다 ③ 분석단위는 개인이다 ④ 양적인 자료를 분석한 연구이다 ⑤ 종단연구이다 7. 다음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요가가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우울감을 호소하는 노인 100명을 모집하였다. 이들 중 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화요일에 요가강좌를 실시하고 이틀 후인 목요일에 100명을 대상으로 우울감 정도를 측정하였다. ① 요가강좌가 실험자극이다 ② 통제집단이 존재한다 ③ 요가강좌에 참여한 50명과 참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