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장애인 복지
-
Chapter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5. 3. 13:13
1. 근대 이전(삼국시대 / 고려시대 / 조선시대) 우리나라는 장애인을 몹쓸 병에 걸려 몸이 쇠약해진 사람. 즉 폐질자(廢疾者), 잔질자(殘疾者), 독질자(篤疾者)로 보았다. 장애인은 가족이 책임지도록 하였으며, 기근·전염병·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해 가족이 장애인을 부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때는, 마을 공동체에서 지원하도록 하였다. 1) 삼국시대 사궁구휼(四宮救恤)-(홀아버지/홀어머니/고아/아들없는 부모)로 장애인을 일반 구제대상에 포함하여 의류나 곡물, 관제 등을 지급하였다. *고구려 : 진대법(고국천왕 16년)을 제정하여 질병 또는 노동능력이 결핍된 자들을 구휼함 *신라 : 노인이나 병자에 대한 구제를 실시함(유리왕 5년) *백제 : 백성의 환고를 조사하여 병자와 노인, 장애인에게 곡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