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공부
-
Chapter 1. 장애에 대한 이해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4. 21. 13:54
page 1. 장애 관련 현황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5년마다 전국적으로 장애인 실태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07년 [장애인복지법]의 개정으로 조사주기를 3년으로 단축하여 장애인의 실태조사와 복지서비스 욕구를 분석하고 있다.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출처-보건복지부)* 1) 장애인구 구분 2008년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 장애인 추정 - 2,683,477 2,726,910 2,668,411 - 등록장애인 2,137,226 2,611,126 2,646,064 2,580,340 2,622,950 ∙65세 이상 장애인구 36.1% 38.8% 43.3% 46.6% 49.9% ∙장애인가구 중 1인 가구 14.8% 17.4% 24.3% 26.4..
-
Chapter 0. 장애의 개념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3. 장애인복지론 공부 2023. 4. 11. 11:45
page 0. 시작하기에 앞서 육아휴직 3개월. 3개월 동안 말도 못하고 나만 바라보는 아들놈에 매달려 살다보니 몸도 마음도 피폐해졌다. 그리고 어린이집 종일반 전환에 따라 생긴 자유. 그냥 누워서 시간을 보내볼까 하다가, 개념 공부를 다시 할 겸, 책을 펼쳤다. (내가 미쳤지;;;) 장애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하나 둘 정리하며, 육아휴직 후 현장에 복귀할 때를 대비한 레벨업을 목표로 달려보고자 한다. 그럼 시작해볼까? (제발 끝까지 이어가기를;;) page 1. 장애의 개념? 장애라는 용어를 한마디로 정리하기란 쉽지 않다. 굳이 개념적 정의를 찾아보자면,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히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또는 그런 일 -표준국어대사전- 신체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