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1급
-
27. 2019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3. 7. 14:46
[풀어보세요] 6. 질적조사의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심층면접은 주요 자료수집 방법 중 하나이다 ② 연구자는 자료수집과정에서 배제되는 것이 원칙이다 ③ 완전관찰자로서의 연구자는 먼저 자료제공자들과 라포형성이 요청된다 ④ 가설설정은 자료수집을 위한 필수적 요건이다 ⑤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갖추어야 자료수집이 가능하다 7.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관성 또는 안정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개념이다 ② 측정도구가 의도하는 개념의 실질적 의미를 반영하는 정도와 관련이 있다 ③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신뢰도 유형이다 ④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은 신뢰도를 낮추는 주요 요인이다 ⑤ 특정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는 낮아진다 8. 경험적으로 검증할 ..
-
18. 2017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1. 19. 07:12
[풀어보세요] 11. 서베이 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면접조사는 우편조사에 비해 비언어적 행위의 관찰이 가능하다 ② 일반적으로 전화조사는 면접조사에 비해 면접시간이 길다 ③ 질문의 순서는 응답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④ 폐쇄형 질문의 응답범주는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⑤ 면접조사는 전화조사에 비해 비용이 높을 수 있지만 무응답률은 낮은 편이다 12. 다음에서 사용한 타당도는? 새로 개발된 주관적인 행복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와 이미 검증되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주관적인 행복감 측정도구의 결과를 비교하여 타당도를 확인한다 ① 내용(content) 타당도 ② 동시(concurrent) 타당도 ③ 예측(predictive) 타당도 ④ 요인(factor) 타당도 ⑤ 판별(discr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