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1급
-
35. 2020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5. 8. 15:18
[풀어보세요] 21.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타당도는? 측정되는 개념이 속한 이론 체계 내에서 다른 개념들과 논리적으로 어느 정도 관련성을 갖고 있는 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가장 수준이 높은 타당도 ① 액면 타당도(face validity) ② 기준 타당도(criterion validity) ③ 동시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④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⑤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22. 확률표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작위추출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한다 ②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편향(bias)을 방지할 수 있다 ③ 모집단의 규모와 특성을 알 때 사용할 수 있다 ④ 표본오차를 추정할 수 있다 ⑤ 질적연구에서 주로 사용된다..
-
31. 2020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번~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4. 8. 17:33
[풀어보세요] 1. 조사설계(research design)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① 구체적인 자료수집 방법 ② 모집단 및 표집방법 ③ 자료분석 절차와 방법 ④ 연구문제의 의의와 조사의 필요성 ⑤ 주요변수의 개념정의와 측정방법 2. 영가설(null hypothesi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변수 간의 관계에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② 변수 간 관계없음이 검증된 가설이다 ③ 조사자가 검증하고자 하고자 하는 가설이다 ④ 영가설에 대한 반증가설이 연구가설이다 ⑤ 변수 간 관계가 우연임을 말하는 가설이다 3.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문지법은 문서화된 질문지를 사용한다 ② 면접법은 조사대상자에게 질문내용을 구두 전달한다 ③ 관찰법은 유형, 시기, 방법, ..
-
30. 2019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4. 3. 06:20
[풀어보세요] 21.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것들만 측정한 것이다 ②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념이다 ③ 조작적 정의의 결과물이다 ④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만 한다 ⑤ 연속형 또는 비연속형으로 측정될 수 있다 22.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우편설문 : 원래 표본으로 추출된 응답자가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② 실험설계 : 개입을 제공하기 전에는 종속변수의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③ 관찰 : 비언어적 자료수집이 가능하다 ④ 비반응성 자료수집 : 연구대상의 반응성 오류를 피할 수 있다 ⑤ 대인면접설문 : 방문 조사원에 의해 보충적인 자료가 수집될 수 있다 23. 측정의 4등급 - 사례 - 가능한 통계분석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명목등급 - 베이..
-
29. 2019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6번~2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3. 24. 10:37
[풀어보세요] 16. 단일사례설계 중 다중기초선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적타당도 저해요인을 통제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개입의 철회를 사용한다 ② 일부 연구대상자에게 개입의 제공이 지연되는 문제를 갖는다 ③ 연구대상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내적타당도는 증가한다 ④ 동일한 개입을 특정 연구대상자의 여러 표적행동에 적용하여 개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통계적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17. 조사연구 과정의 일부분이다. 이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보기] ㄱ. '대학생들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수용성이 다를 것이다'라는 가설설정 ㄴ. 표본을 추출하여 자료수집 ㄷ.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ㄹ. 구조화된 설문지 작성 ① ㄱ→ㄴ→ㄷ→ㄹ ② ㄱ→ㄷ→ㄴ..
-
28. 2019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3. 14. 12:42
[풀어보세요] 11. 질적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실천, 이야기, 생활방식, 하위문화 등이 질적조사의 주제가 된다 ② 자연주의는 질적조사의 오랜 전통이다 ③ 확률표본추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④ 일반화 가능성이 양적조사보다 높다 ⑤ 현장연구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12. 다음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보기] O1 X O2 [O1 : 사전검사 X : 개입 O2 : 사후검사] ① 내적타당도가 강한 설계이다 ② 검사효과를 통제하는 설계이다 ③ 진(순수)실험설계에 속하는 설계이다 ④ 통제집단을 확보하기 어려울 때 사용할 수 있는 설계이다 ⑤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용이한 설계이다 13.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이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들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
-
27. 2019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6번~10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3. 7. 14:46
[풀어보세요] 6. 질적조사의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심층면접은 주요 자료수집 방법 중 하나이다 ② 연구자는 자료수집과정에서 배제되는 것이 원칙이다 ③ 완전관찰자로서의 연구자는 먼저 자료제공자들과 라포형성이 요청된다 ④ 가설설정은 자료수집을 위한 필수적 요건이다 ⑤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갖추어야 자료수집이 가능하다 7. 측정도구의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관성 또는 안정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개념이다 ② 측정도구가 의도하는 개념의 실질적 의미를 반영하는 정도와 관련이 있다 ③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신뢰도 유형이다 ④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은 신뢰도를 낮추는 주요 요인이다 ⑤ 특정 개념을 측정하는 문항수가 많을수록 신뢰도는 낮아진다 8. 경험적으로 검증할 ..
-
25.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21번~2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2. 29. 14:34
[풀어보세요] 21. 조사대상자의 선정편향(selection bias)이 영향을 주기 어려운 것은? ① 내적 타당도 ②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③ 표본의 대표성 ④ 측정의 정확성 ⑤ 결과의 일반화 정도 22. 신뢰수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99% 신뢰수준은 1%의 유의수준을 사용한다는 의미다. ㄴ. 신뢰수준을 95%에서 99%로 높이면 1종 오류를 줄일 수 있다. ㄷ. 95% 신뢰수준은 100번 조사하면 5번 정도는 오차가 허용될 수 있다는 의미다. ㄹ. 99% 신뢰수준에서 모집단의 평균값이 신뢰구간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99% 확신할 수 있다.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23. 초, 중, 고등..
-
23. 2018년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및 풀이(조사론 11번~15번)page 01. 좋아서 하는 사회복지/chapter 04. 사회복지조사론 1급 기출문제 풀이 2020. 2. 26. 13:46
[풀어보세요] 11. 변수의 측정 종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보기] ㄱ. 사회복지사의 근무지역 동(洞) ㄴ. 사회복지사가 이수한 보수교육 시간(분) ㄷ. 사회복지사의 근무기관 평가등급 점수(A, B, C, D) ① ㄱ: 명목측정, ㄴ: 서열측정, ㄷ: 비율측정 ② ㄱ: 비율측정, ㄴ: 서열측정, ㄷ: 명목측정 ③ ㄱ: 서열측정, ㄴ: 비율측정, ㄷ: 서열측정 ④ ㄱ: 명목측정, ㄴ: 비율측정, ㄷ: 서열측정 ⑤ ㄱ: 서열측정, ㄴ: 명목측정, ㄷ: 비율측정 12. 근거이론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 이론을 통합시키고 정교화하는 과정으로 이론적 포화(theoretical saturation)와 변화범위(range of variability)에 대한 작업을 진행한다. - 주로 근거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