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맨 2023. 4. 11. 11:45
반응형

 

  • page 0. 시작하기에 앞서

 

육아휴직 3개월. 3개월 동안 말도 못하고 나만 바라보는 아들놈에 매달려 살다보니 몸도 마음도 피폐해졌다. 그리고 어린이집 종일반 전환에 따라 생긴 자유. 그냥 누워서 시간을 보내볼까 하다가, 개념 공부를 다시 할 겸, 책을 펼쳤다.

(내가 미쳤지;;;)

 

장애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을 하나 둘 정리하며, 육아휴직 후 현장에 복귀할 때를 대비한 레벨업을 목표로 달려보고자 한다. 그럼 시작해볼까? (제발 끝까지 이어가기를;;)

 

 

  • page 1. 장애의 개념?

 

장애라는 용어를 한마디로 정리하기란 쉽지 않다. 굳이 개념적 정의를 찾아보자면,

 

어떤 사물의 진행을 가로막아 거치적거리게 하거나 충분히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함. 또는 그런 일   

-표준국어대사전-

신체기관이 본래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정신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

-사회복지현장-

 

정도가 될 것 같다. 즉 신체적 또는 정신적인 결함장애에 대한 주요 포인트로 보고 있다.

 

 

  • page 2.  장애에 대한 개념적 접근

장애에 대한 개념은 개별적인 의료적 모델사회적 모델의 이분법적인 구분으로 보던 기존의 모델에서,

개별적 모델사회적 모델, 유물론적 개념관념론을 교차하여 설명하는 프리스틀리(Priestley)의 다중모델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1. 이분법적 구분

 

이분법적 구분은 장애를 개별적(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로 나누어 설명하는 패러다임이다. 이분법적 구분에 대한 모델은 다음과 같다.

[개별적 모델]
[사회적 모델]
[이분법적 구분]

 

 

2. 다중모델 구분

 

프리스틀리(M. Priestley)에 의해 제시된 다중모델은 

 

개별적-유물론 접근

개별적-관념론 접근

사회적-유물론 접근

사회적-관념론 접근

 

으로 구분된다.

 

[다중모델 구분]

개별적-유물론 접근은 장애를 개인의 물질적 조건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손상 또는 개인의 비극적 산물로 간주한다. 따라서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 시 정상에 가깝게 재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별적 유물론 접근법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영역은 재활/수술/보조기구 지원/장애예방/약 개발 등이 있다.

 

개별적-관념론 접근은 장애를 개인적 경험의 산물이자 개인 간 이루어지는 사회적 역할의 협상을 통한 산물로 간주한다. 따라서 손상에 대한 장애인의 적응과정이나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태도, 낙인 등을 연구한다. 개별적 관념론 접근법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영역은 손상에 대한 심리적 문제해결, 지역사회 중심의 주거/통합교육/직업재활/자활 등이 있다.

 

사회적-유물론 접근은 장애를 역사적으로 정치나 경제의 발달에 따라 야기되는 물질적 권력의 관계로 간주한다. 따라서 산업화·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장애를 비롯한 장애에 대한 차별과 억압이 발생한다고 보며, 억압이나 차별이 만드는 사회구조와 장벽의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사회적 유물론 접근법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영역은 이동권/정보접근권/인권/차별금지운동/자립생활 지원 등이 있다.

 

사회적-관념론 접근은 장애를 특정한 문화적 맥락에서 발전하는 사회의 관념적 산물로 간주한다. 따라서 사회적 낙인과 역할기대를 장애의 원인으로 본다. 사회적 관렴론 접근법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영역은 차별문화 해소를 위한 장애인식개선사업, 사회적 편견해소를 통한 사회통합, 장애를 유발하는 문화개선 사업 등이 있다.

 

 

  • page 3. 장애유형

 

우리나라의 장애유형은 1988년 11월 장애인등록사업을 시작으로, 1989년 [장애인복지법]에서 지체장애/시각장애/청각장애/언어장애/정신지체의 범주화 이후, 2007년 정신지체→지적장애 / 발달장애→자폐성장애의 개칭을 통해 현재의 장애유형을 형성하게 되었다.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유형은 다음과 같다.

 

[장애유형]

 

오랜만에 공부하며 정리하려니 쉽지 않다. 끝까지 잘할 수 있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