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02. 사회복지 공부/chapter 02. 사회복지사 기출문제(인행사)

26. 2019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번~5번)

화전맨 2020. 12. 28. 16:48
반응형

[풀어보세요]

 

1. 인간행동과 성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행동은 개인의 성격특성에 따라 다르게 표출된다

② 성격을 이해하면 행동의 변화추이를 예측할 수 있다

③ 인간행동의 이해와 개입을 위해서는 성격의 이해가 필요하다

④ 성격이론은 인간행동의 수정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된다

⑤ 성격은 심리역동적 특성이 있어 일관된 행동을 기대할 수 없다

 

 

2. 인간발달이론이 사회복지실천에 유용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 적응과 부적응의 판단 기준이 된다

② 모든 연령 계층의 클라이언트와 일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③ 생애주기에 따른 변화와 안정 요인을 이해하게 한다

④ 발달단계에 따라 신체, 심리, 사회적 기능을 분절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⑤ 발달단계별 욕구에 따른 사회복지제도의 기반을 제공한다

 

 

3. 인간발달의 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② 일생에 걸친 예측 불가능한 변화이다

③ 발달의 정도와 속도는 개인마다 다르다

④ 일정한 순서와 방향성이 존재한다

⑤ 멈추는 일 없이 지속된다

 

 

4.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서 긍정적 결과와 주요관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영아기(0-2세, 신뢰감 대 불신감) : 지혜 - 어머니

② 유아기(2-4세,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 의지 - 부모

③ 학령전기(4-6세, 주도성 대 죄의식) : 목적 - 가족

④ 아동기(6-12세, 근면성 대 열등감) : 능력 - 이웃, 학교

⑤ 청소년기(12-19세,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 성실 - 또래집단

 

 

5.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 불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불안 : 공포상태로서 위급한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ㄴ. 현실적 불안 : 자아가 현실세계에 있는 위협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다
ㄷ. 신경증적 불안 : 원초아의 충동이 의식될지도 모른다는 위협을 느낄 때 생기는 두려움이다
ㄹ. 도덕적 불안 : 원초아와 초자아 간의 갈등에서 느끼는 양심에 대한 두려움이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문제풀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