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2018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기출문제(11번~15번)
[풀어보세요]
11. 융(C. Jung)의 분석심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간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존재이다
② 인간은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기 꺼리는 그림자(shadow)를 가지고 있다
③ 집단무의식을 '조상 대대로의 경험의 침전물'로 보았다
④ 남자의 여성적인 면은 '아니무스(animus)', 여자의 남성적인 면은 '아니마(anima)'이다
⑤ 페르소나(persona)는 개인이 외부에 표출하는 이미지 혹은 가면을 의미한다
12.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중 감각운동기의 세부단계와 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사기(출생~1개월) : 반사행동을 통하여 환경 내 자극들을 동화시키며 성장한다
② 1차 순환반응기(1~4개월) : 손가락 빨기와 같이 우연한 신체적 경험을 하여 흥미 있는 결과를 얻었을 때 이를 반복한다
③ 2차 순환반응기(4~8개월) : 딸랑이 흔들기와 같이 환경 변화에 흥미를 가지고 그 행동을 반복한다
④ 2차 도식협응기(8~12개월) : 장애물을 치우고 원하는 물건을 잡는 등 의도적 행동을 할 수 있다
⑤ 3차 순환반응기(12~18개월) : 행동하기 전에 생각을 반복한다
13. 집단의 구성동기에 따른 유형과 그 예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모두 고른 것은?
ㄱ. 자연 집단(natural group) - 또래집단 ㄴ. 1차 집단(primary group) - 과업집단 ㄷ. 형성 집단(formed group) - 치료집단 ㄹ. 2차 집단(secondary group) - 이웃 |
① ㄱ, ㄹ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14. 청소년기 인지발달의 일반적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개념(self-concept)의 발달이 시작되고 자기효능감이 급격히 증가한다
② 구체적인 사물에 한정되지 않고 추상적 개념을 다룰 수 있다
③ 가설을 세울 수 있고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해진다
④ 피아제(J. Piaget)의 이론에 따르면 형식적 조작기에 속한다
⑤ 자아중심적 사고로 상상적 청중 현상과 개인적 우화 현상을 보인다
15. 마샤(J. Marcia)의 자아정체감 이론에서 다음의 정체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정체감 유실(identity foreclosure)
② 정체감 혼란(identity diffusion)
③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
④ 정체감 유예(identity maratorium)
⑤ 정체감 전념(identity commitment)
[문제풀이]